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화면크기

닫기

1. 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1초·중등 수·과학 및 디지털 기초역량 제고

초·중등 수·과학 및 디지털 기초역량 제고 관련 이미지

초·중등 수·과학 교육체계 강화​

  • 이공계 전공 기초를 위한 수·과학 학습 강화
  • 첨단기술 기반 교수학습 지원 및 인프라 강화​ STAR 브릿지 센터 구축운영, 초·중등 지능형 과학실 구축 등

디지털 기초 교육 확대 활성화​​

  • 초·중등 디지털 교육 체계 구축​​
  • AI·SW 교육 확대 및 교원 교육역량 강화 AI교육 선도학교 운영 확대, 교수법 학습·연수 기회 확대 등

2미래사회를 선도할 우수인재 발굴 및 유입 촉진

미래사회를 선도할 우수인재 발굴 및 유입 촉진 관련 이미지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성장 지원​​

  • 놓침 없는 과학영재 발굴 시스템 구축​​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 지역 영재센터 확충 등​
  • 학습자 성장 중심 영재교육 체계화​​​

우수인재의 이공계 유입 확대 및 심화교육 제공​​​

  • 초·중등 과학기술분야 진로탐색 콘텐츠 다양화​​
  • 수·과학 심화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내실화​

3이공계 대학생의 변화대응역량 강화​

이공계 대학생의 변화대응역량 강화 관련 이미지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관련 기본역량 강화​​

  • 이공계 대학의 기초전공교육 강화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제도개선 등​
  • 이공계 대학 교육·연구 분야 혁신 지원

산업 현장에 기반한 문제 해결역량 확충​​​

  • 현장 실전문제해결 교육 고도화 및 취·창업 연계 교육 확대​ 실전형 연구·교육 프로그램(X-Corps Plus, CUop) 추진 등​
  • 신산업 분야 전문기술 실무인재 교육과정 강화

이공계 대학 교육기반 고도화​​​​

  • 대학 교원의 교수 학습법 개선 및 학사제도 유연화​
  • 공동 교육과정 운영 및 원격수업 등 교육환경 개선​ 디지털 신기술 혁신공유대학, STAR-MOOC 추진 등​​
닫기

2. 청년 연구자가 핵심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1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기반 구축​

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기반 구축​​​ 관련 이미지

학생 연구원의 처우 및 연구실 환경 개선​​

  • 대학원생 처우 개선 및 행정기술적 지원체계 구축 기본 학업장려금 확대, 학생인건비 통합관리제도 활성화 등​
  • 안전한 환경에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기반 조성

대학단위의 연구 지원 강화​​​

  • 기관 단위 묶음예산 방식의 지원 확대​ 4단계 BK21사업, 대학단위 지원(GUF) 확대 등​
  • 대학연구소 육성을 통한 신진연구자 육성지원 강화​​

2청년 과학기술인의 성장 지원 강화​

청년 과학기술인의 성장 지원 강화​ 관련 이미지

젊은 연구자 성장지원 프로그램 확대​​

  • 안정적 연구지원 확대 및 석·박사 취·창업 지원 강화​ 세종과학펠로우십 및 KIURI 사업 추진 등​

연구자 중심의 기초융합연구 지원 확대​​​

  • 자율적 연구 지원 강화 및 연구자 전문역량 강화​ 장기 연구지원 트랙 마련, 학제기관간 융합연구 지원 확대 등​​

신직업 분야 발굴 및 진출 지원 강화​​​​

  • 미래 신직업 발굴 및 직업훈련 창업 지원 확대​

3미래 유망분야 혁신인재 양성​​

미래 유망분야 혁신인재 양성​ 관련 이미지

AI·SW분야 혁신인재 양성​​​

  • 세계 최고 수준의 AI·SW분야 인재 양성​ SW 스타랩 및 AI 대학원 운영 확대 등​
  • AI 분야 박사급 인재의 융합연구역량 고도화 AI·SW 분야 대학 ICT 연구센터,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확대 등​

신산업 분야 인재 양성​​​​​

  • 녹색융합 및 바이오 혁신인재 양성​
  • 주력특화 산업 전문인재 양성
닫기

3. 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기반 확충​​

1과학기술인 평생학습 지원체계 강화​

과학기술인 평생학습 지원체계 강화​​​ 관련 이미지

과학기술인 평생교육 통합시스템 마련​​​

  • 개인별 수요 맞춤형 교육 및 경력개발 플랫폼 구축​ 과학기술인 α-캠퍼스 구축운영 ​​
  •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연계 강화

평생학습 참여 활성화 지원 강화​​

  • 재직자 역량개발 기회 확대를 위한 교육제도 개선
  • 학습자의 수요를 고려한 학습설계 지원 체계 구축 ​

2현장 수요 기반 디지털전문 역량 제고

현장 수요 기반 디지털전문 역량 제고​ 관련 이미지

AI·SW 등 디지털 분야 실무 전문교육 확산​​​

  • 온·오프라인 직업훈련 및 플랫폼 지원 확대​
  • 혁신형 SW교육 및 데이터 전문교육 강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운영, 빅데이터 전문교육 강화 등​​

혁신기술 분야 전문융합교육 확대​​

  • 혁신기술 분야 전문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확대
  • 재직자 대상 AI 융합역량 교육 활성화​ 산업전문인력 AI역량강화 등​​​

3여성 과학기술인의 성장진출 활성화 체계 마련​

여성 과학기술인의 성장진출 활성화 체계 마련​​​​ 관련 이미지

여성 과학기술인의 사회 진출 활성화​​​

  • 전주기적 여성 과학기술인 성장지원 체계 구축​ W-브릿지 구축운영​
  • 신규 수요 분야 여성 과학기술인 양성활용 지원 강화​ SW 여성 전문인력 양성, 산업현장 여성 R&D인력 참여 확대 등​​

일-가정 양립 및 양성평등 문화 조성​​​​

  • 일-생활 균형 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제도 정착 및 확산 지원​
  • 양성 동반성장을 위한 포용적 문화조성​

4고경력 핵심 과학기술인 역량 활용 고도화​​

고경력 핵심 과학기술인 역량 활용 고도화​​​ 관련 이미지

고(高)경력 맞춤형 다양한 활동 기회 제공​

  • 경력 생애업적 기반 맞춤형 지원 강화​ 핵심연구자 생애업적 기반 후속연구 지원 검토 등​​
  •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지속적 활동을 위한 제도기반 마련​

경력개발관리 지원체계 강화​​​​

  • 퇴직 전 경력설계 및 전환 지원​
  • 고경력 과학기술인 DB 개선 및 활동매칭 강화​​

핵심기술 보유 인재의 지속 활용 기반 마련​

  • 핵심인재 보호 관리 추진체계 구축​​
  • 핵심인재의 국내 활동 활성화 기반 조성
닫기

4. 인재생태계 개방성 역동성 강화​​​

1해외 인재의 국내 유입 활성화​

해외 인재의 국내 유입 활성화​​​​ 관련 이미지

전략적 해외 우수인재의 유치 및 정착 지원 강화​​​​

  • 신산업 분야 중심 해외 우수인재 유치 지원 강화​
  • 해외연구자의 국내 활동 관련 종합지원체계 구축​ 전담조직(가칭 'Linko센터'), 종합 안내포털(가칭 RnDinKorea.or.kr) 운영 등​

해외 우수인재의 협력 네트워크 고도화 및 취·창업 지원​​​

  • 국내 유입·유출 관련 인재 순환 플랫폼 구축​
  • 기술창업과 중소기업 특화 취업 지원 확대 해외 인재 창업비자 발급 우대, 외국인 유학생 취업 지원 등​​​

2산·학연 간 인재 유동성 확대

산·학연 간 인재 유동성 확대​ 관련 이미지

산·학연 간 교류촉진 기반 강화​​

  • 공공(연) 연구자의 중소·중견기업 파견 및 겸직 지원 강화​
  • 교류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및 프로그램 마련

산·학연 협력모델 지속 개발운영​​​

  • 지역 수요 기반 산·학연 공동 교육연구 모델 구축확대​
  •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제도 마련​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 산학협력 마일리지 제도 추진 등​​​​

3과학과 사회 간 소통 강화​

과학과 사회 간 소통 강화​ 관련 이미지

온·오프라인 과학 사회 소통 채널 및 콘텐츠 다변화​​​​

  • 일상 속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확​산 사이언스 올 고도화 및 과학체험시설 확충 등​​
  •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 강화​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책무 강화​​​​​

  • 연구윤리 가이드라인 제정 및 전담기관 확충​​
  •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과학기술인 복지 지원 확대

4이공계 법제도 인프라 선진화

이공계 법제도 인프라 선진화​​​ 관련 이미지

생동력 있는 제도 운영 시스템 구축​​

  • 이공계 대학의 자율적 혁신을 위한 규제 개선​ 규제 개선 로드맵 수립 및 규제 샌드박스 운영 등​​
  •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각종 법령제도 개선​

근거 기반의 정책 수립을 위한 통계 고도화​​​​​

  • 전 생애주기에 걸친 경력개발 경로와 수급현황 파악을 위한 통계기반 구축​
  • 인력정책 종합정보체계 운영 및 전문인력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