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와 미국의 일자리 미래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Company)는 글로벌 팬데믹에 따른 미국 노동시장의 변화 및 생성형 AI로 인한 향후 전망 등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23.7) 미국| 맥킨지(McKinsey&Company) 고용/직업 인공지능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 전략(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차 전원회의('23.11.27.)에서 심의·확정한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전략(이하 글로벌 R&D 전략)'을 발표함('23.11) 관계부처 합동 신진연구자 해외인재유치
2023년 OECD 고용 전망 : AI 시대 역량 수요와 정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AI로 인한 노동시장 변화 및 전망에 대한 분석 보고서 발표(’23.07) 국제기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고용/직업 인공지능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2차 지방시대위원회 의결('23.10.23.)을 거쳐 디지털 중심 지방발전체계 구축을 위한 '지방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을 기존 SOC 등 하드웨어(H/W)적 인프라 확충 중심의 국가균형 발전 정책과 차별화해 지방 경제·사회의 디지털화에 초점을 맞춰 발표함('23.10) 관계부처 합동 대학 기업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전 세계 및 국가,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한 1,300만 파운드 프로젝트 투자 계획 발표 2023.10.25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평등, 다양성, 그리고 포용성 전문가 자문단' 위촉 2023.10.26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AI분야 12개 박사과정 교육센터에 대한 투자 계획 발표 2023.10.31 미국 액센츄어(Accenture) 고숙련 인재의 지역별 유치 확대를 위한 기업 전략 발표 2023-09-25 미국 라이트캐스트(Lightcast) 「2023년 미래 일자리에 대한 보고서」 발표 2023-10-24 미국 백악관(WH) 미국의 선도적인 과학자, 기술자, 혁신가에게 표창 2023.10.24 미국 국립과학공학통계센터(NCSES) 팬데믹 전후, 미국의 초·중등 STEM 교육 현황에 관한 보고서 발표 2023.10.26 미국 액센츄어(Accenture) 고숙련 인재의 지역별 유치 확대를 위한 기업 전략 발표 2023-09-25 미국 라이트캐스트(Lightcast) 「2023년 미래 일자리에 대한 보고서」 발표 2023-10-24 미국 백악관(WH) 미국의 선도적인 과학자, 기술자, 혁신가에게 표창 2023.10.24 미국 국립과학공학통계센터(NCSES) 팬데믹 전후, 미국의 초·중등 STEM 교육 현황에 관한 보고서 발표 2023.10.26 미국 백악관(WH) AI 분야 인재유치를 위한 STEM 비자경로 확대 계획 고시 2023.10.30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인공지능 연구역량 강화 및 다양화를 위한 1,600만 달러 지원 계획 발표 2023.10.31 미국 전미경제연구소(NBER) 최근 박사학위 취득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보고서 발표 2023.11.03 일본 문부과학성(MEXT) 일본의 미래 성장을 고려한 「혁신 공동창조거점」 강화에 관한 보고서 발표 2023.10.24 일본 딜로이트 토마스 그룹 지역별 IT 인재육성에 관한 과제와 대응방안에 관한 보고서 발표 2023.10.30 일본 경제산업성(METI) 제1회 고급해외인재연구회 개최 2023.10.30 일본 내각부(CAO) 자율형 무인탐사기(AUV) 민관플랫폼 제안서 발표 2023.10.31 일본 경제산업성(METI) 「경제안보에 관한 산업기술 기반 강화 행동계획」 발표 2023.10.31 일본 내각부(CAO) 여성디지털인재육성계획 사례집 발표 2023.09.29 일본 경제산업성(METI) 디지털시대의 인재육성정책에 관한 조사보고서 발표 2023.10.06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全国人民代表大会) 「과학기술진보법」 이행현황에 관한 보고서 발표 2023.10.21 중국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NSFC) 여성과학기술인에 대한 지원 확대방안 추진 2023.10.26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최고급 데이터 책임자 양성방향 발표 2023.10.27 중국 국가데이터국(国家数据局) 중국 '국가데이터국(国家数据局)' 공식 출범 2023.10.30 중국 국무원(国务院) 대학 과학기술 성과의 현실 생산력 전환 가속화 추진 의견 발표 2023.10.30.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발전 지도의견> 발표 2023.11.02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 정전특신 중소기업 취업 및 창업 발전 계획 발표 2023.09.27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전 세계 및 국가,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한 1,300만 파운드 프로젝트 투자 계획 발표 2023.10.25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평등, 다양성, 그리고 포용성 전문가 자문단' 위촉 2023.10.26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AI분야 12개 박사과정 교육센터에 대한 투자 계획 발표 2023.10.31 영국 교육부(DfE) 1억 9,600만 파운드의 신규 교사 지원 발표 2023.10.10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영국 에너지규제기관(Ofgem)의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1,600만 파운드 투자 2023.10.10 영국 원자력해체청(NDA) 영국 원자력해체청(NDA)의 2024 박사 장학금 제도 발표 2023.10.12 영국 연구혁신기구(UKRI) 연구를 위한 스마트 데이터에 대한 투자에 대한 기사 게재 2023.10.13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유럽 딥테크 인재육성 이니셔티브 출범 2023.10.25 유럽연합(EU)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지속가능한 투자 활성화를 위한 'Global Gateway Forum' 개최 2023.10.25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EIT Digital, 새로운 사이버 보안 및 로보틱스 프로그램 출시를 위한 파트너사 합류 발표 2023.09.26 유럽연합(EU)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연수제도 개선을 위한 2단계 협의 발표 2023.09.28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유러피안 딥테크(European Deep Tech) 파트너십 확대를 위한 파트너십 고시 2023.09.13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중소기업의 산업5.0 전환을 위한 지원 고시 2023.09.01 유럽연합(EU) 유럽혁신기술연구소(EIT) EIT Digital과 EBAN의 유럽 기업가 정신 활성화 방안 발표 2023.08.21 기타 사이언스(Science) 6개 최고 연구 대학의 여성 리더들은 반도체 인력의 다양성을 촉구하는 기사 게제 2023.10.20 기타 사이언스(Science) 여성 및 흑인 연구자가 복수의 NIH 연구비를 지원받을 가능성이 낮다는 기사 보도 2023.02.28 기타 네이처(Nature) 2022 과학기술 인력 현황 2022.12.14 기타 네이처(Nature) 영국 내 연구자 파업 현황 및 원인 2022.11.29 기타 네이처(Nature) 2022년 글로벌 대학원생 설문조사 관련 기사 게재 2022.11.07 기타 네이처(Nature) 대학의 명성이 교수진 채용 및 유지, 연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2022.11.18 기타 네이처(Nature) 시진핑 3기 출범이 중국 과학계에 미치는 영향 2022.10.27
관계부처 합동 | 2023.12.01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 전략(안) 관계부처 합동 | 2023.12.01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안) 산업통상자원부 | 2023.12.01 K-조선 차세대 선도 전략
양성 [2023] 대학원의 과학기술전공 재학생 충원율 학위·전공별 대학원 재학생 수 41,649명 학위·전공별 전체 대학생 수(재적생) 897,952명 주요국의 인구 백만 명당 과학기술분야 박사학위자 수 189.3명 유입더보기 성장 [2021] 학위·전공별 신규학위 취득자의 취업 현황(대학) 학위·전공별 신규학위 취득자의 진학 현황(대학) 진학률 10.3% 학위·전공별 신규학위 취득자의 진학 현황(석·박사) 진학률 11.7% 유입더보기 활동 [2022] 이공계 분야 전공자 고용률 학위별 과학기술분야 전공자 취업 현황 석·박사 62만명 과학기술직종·연관직종 취업자 현황 294만명 유입더보기 환경 [2023] 고등교육 이수율(IMD) 두뇌유출지수(IMD) 36위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 부합도(IMD) 46위 QS 세계대학랭킹 5개(100위권) 유입더보기 간행물 01 / 12 최신보고서 정책연구보고서 통계보고서 간행물더보기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미리보기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미리보기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적자원 활용 극대화미리보기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적자원 활용 극대화다운로드 2023.04.3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적자원 활용 극대화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다운로드 2023.03.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미리보기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다운로드 2022.10.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적자원 활용 극대화미리보기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적자원 활용 극대화다운로드 2023.04.3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적자원 활용 극대화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분야 미래 신직업에 대응한 교육 혁신방안 연구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미리보기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미래 일자리 변화에 대응한 과학기술인재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혁신방안 연구 디지털·비대면 분야 유망 신직업 중점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미리보기 디지털·비대면 분야 유망 신직업 중점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다운로드 2021.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디지털·비대면 분야 유망 신직업 중점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미리보기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다운로드 2021.04.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 과학기술인력 육성 성장 체계의 미래 - 출연연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체계를 중심으로미리보기 과학기술인력 육성 성장 체계의 미래 - 출연연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체계를 중심으로다운로드 2020.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과학기술인력 육성 성장 체계의 미래 - 출연연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체계를 중심으로 제4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9~’23) 수립 및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미리보기 제4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9~’23) 수립 및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다운로드 2019.02.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제4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19~’23) 수립 및 생애주기별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4차 산업시대 전략적 해외 과학기술 인재유치 및 활용 종합계획 수립 연구미리보기 4차 산업시대 전략적 해외 과학기술 인재유치 및 활용 종합계획 수립 연구다운로드 2019.02.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4차 산업시대 전략적 해외 과학기술 인재유치 및 활용 종합계획 수립 연구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미리보기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미리보기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다운로드 2023.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다운로드 2023.03.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기관) 보고서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미리보기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다운로드 2022.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2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미리보기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다운로드 2022.10.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 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개인) 결과보고서 2021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미리보기 2021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다운로드 2022.06.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년도 주요 과학기술인력 통계 2021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미리보기 2021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다운로드 2022.06.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년도 이공계인력 지표집 2021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미리보기 2021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다운로드 2021.12.3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1년 과학기술인력(HRST) 스코어보드 공지 16 2023.06 [안내] 과학기술인재정책 플랫폼(HPP) 개편 안내! 공지더보기 뉴스레터 HPP 웹진을 구독하고 최신 소식을 받아보세요입력한 메일 주소로 HPP 웹진을 받아 보실 수있습니다. 신청하기 뉴스레터더보기